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꿀팁

국민은행 IRP 계좌 개설 방법 정리

by 꾸니따의 재테크 꿀팁 2024. 3. 11.

오늘은 국민은행 IRP 계좌 개설 방법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연봉이 높아지면서 연말 정산에서 환급 받기보다 뱉어내는 분들께서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IRP 계좌 개설 방법 종류

국민은행의 경우 홈페이지에서 IRP 계좌를 개설하거나, 은행을 방문해서 개설하거나, 국민은행 스타뱅킹앱에서 개설하거나 이렇게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저는 스타뱅킹앱에서 가입하기를 해보겠습니다.

 

국민은행 IRP 계좌 개설 조건

소득이 있는 모든 사람이 가입 가능합니다. 직장인이 가입하려면 퇴직연금제도 가입자이거나 퇴직금 제도 적용 근로자일 것입니다. 입사한지 1년이 안 되었다면 퇴직급여 미설정 근로자가 됩니다. 저는 1년 이상 근로자여서 가입 자격에서 퇴직금제도 적용근로자를 선택했습니다.

 

 

국민은행 IRP 계좌개설 순서

1 KB스타뱅킹앱에서 상품가입

상품가입탭을 클릭 후, 퇴직연금 탭 하위의 개인형 IRP 가입하기를 클릭합니다.

** 개인형 IRP에 가입하기 위한 서류들도 앱에서 확인 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관련 서류를 제출하실 필요가 이제 없습니다. 공공 마이데이터가 생기면서 공공 마이 데이터 조회하기를 클릭해주면 처리가 됩니다.

국민은행 개인형IRP 가입1

 

 

2 납입한도

납입한도는 연간 180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굳이 여기에 1800까지 넣을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세액공제 한도까지만 넣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 운용방법

운용은 안전하게 예금에 투자할 수도 있고, 수익을 위해 ETF 등에 투자할 수도 있습니다. IRP는 위험 자산에 70%만 투자가 가능하니, 30%는 예금 등 안전한 자산에 운용해야 합니다.

 

국민은행 IRP 계좌 운용 상품

 

4 세액공제

세액 공제 한도가 연간 900만원이기 때문에 납입은 1800만원까지 할 수 있어도 보통 900까지 넣으시는 분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연간급여가 5500만원이하면 16.5%이고, 연간급여가 5500만원을 초과하면 13.2%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IRP 계좌 세액공제 한도

 

5 연금수령

연금수령은 만 55세이상이고 최소 5년 이상 투자해야 수령 신청이 가능합니다. 또한 운용 상품 잔액이 최소 300만원 이상 되어야 수령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때 연령별 연금소득세를 3.3~5.5% 정도 냅니다.

 

6 중도인출 및 중도해지

중도해지하는 경우 기타소득세 16.5%를 내기 때문에 원금보다 적게 돌려받을 수 있다고 하니 중도 해지 않을 정도만 넣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국민은행 개인형 IRP 신규가입 상세

아래와 같이 적립겸용, 퇴직용 가입이 있고, 타기관 연금계좌를 불러오는 식으로도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세액공제를 추가로 받기 위해서 적립겸용 개인형 IRP 신규가입을 선택했습니다.

 

국민은행 IRP 계좌 운용 목적

 

1 신규 가입 자격 확인

IRP 계좌 개설 자격을 확인하는데요, 저는 직장인이니 퇴직금제도 적용근로자를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공공 마이데이터 조회를 하시면 됩니다.

국민은행 IRP 계좌 개설 자격

 

 

2 납입한도 설정 및 자동이체 신청

공공 마이데이터 조회가 완료되면 납입 한도를 설정하고 출금계좌를 지정하고 자동이체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다음다음 넘어가서 신청하시면 IRP 계좌를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IRP 계좌 개설 시 유의사항 및 결론

국민은행 IRP 계좌를 계좌 개설 할 경우, 한 달 이내에 대출을 받았다면 계좌 개설이 되지 않으니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저는 IRP 계좌가 세액 공제 한도가 900인 점은 장점인 것 같지만, 주식형 투자가 70% 정도 밖에 안 돼서 연금저축펀드를 가입 해보려고 합니다. 연금저축펀드 개설법도 확인해서 향후 작성해보겠습니다.